영숙이네집 :: 자연의 철학자들 매월당 신목 오동섭 차 연구가 보련사 억새집 고려단차 약발효잎차 택배 주문 구입 오늘 맑고 향기롭게


반응형

[자연의 철학자들 – 보련사 억새집 매월당 차 연구가 오동섭]

 

보련산에는 자연 속에서 억새를 엮어 매월당이라는 억새집을 짓고 김시습의 차 정신을 실천하며 살고 있는 주인공이 있습니다. 바로 오동섭 씨로 그는 매일 새벽 집 청소를 하며 하루를 시작합니다.

 

차-잎-따는-오동섭
출처-자연의철학자들

마당에 먼지 하나 없이 청소를 해야 직성이 풀리는 까닭은 그에게 집은 자신의 자화상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. 어렸을 때부터 자연 속에서 초가집을 짓고 소박하게 살고 싶었던 꿈과 자신의 차 정신, 그리고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억새를 잇고 집을 둘러싼 돌담을 직접 쌓으며 그의 모든 노력이 억새 집에 녹아 있습니다.

 

 

그의 모습은 차에 자신의 머리카락 한 올이라도 들어갈까 머리를 질끈 묶어 상투를 틀고 땀을 머리띠로 둘러막다 보니 조선 시대의 머슴처럼 보입니다.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 집의 주인은 따로 있는 듯한데 바로 억새 지붕 곳곳에 있는 새들입니다. 자신의 좋아 하는 집에 귀한 생명가지 함께해 더욱 행복을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.

 

마루-청소하는-오동섭
출처-자연의철학자들

오동섭 씨는 치매를 앓고 있는 80대 노모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. 어머니는 어린 자식들이 배고프다고 보챌 때 보리밥을 해 먹였던 시절을 당신의 봄날로 기억하고 있습니다. 남편을 먼저 보내고 어려운 살림으로 6남매를 키운 어머니는 동섭 씨에게 산 같은 존재입니다.

 

치매에 걸린 노모와 함께 봄나들이에 나선 그는 예전 향기로운 봄꽃을 보면 차를 만들 생각부터 했지만 이제 봄 한철 아름다운 꽃을 피운 뒤 금방 사라지는 꽃이 눈물겨워 한 송이를 따기도 아까운 마음입니다.

 

봄꽃-캐는-오동섭
출처-자연의철학자들

시골에서 자랄 때 자연은 놀이터이자 자기만의 방 같은 공간이었습니다. 어렸을 때는 산에서 자신의 몸보다 더 큰 나무 짐을 날아야 했지만 솔바람 소리만 들으면 피로가 사라지고 마음까지 편해졌습니다.

 

 

도시 생활을 떠나 도망치 듯 찾은 산은 다시 그를 조건 없이 품어 주었습니다. 산야초를 내주며 먹고살게 해주고 예상치 못한 순간에 야생차를 만나게 해주었습니다.

 

초가집
출처-자연의철학자들

신비로운 향기를 품은 차에 홀리듯 빠져든 그는 차 연구가가 되어 이곳에 정착했습니다. 지금 4월은 야생 차나무에 우전이 돋아납니다. 우전은 추운 겨울을 이겨낸 생명력으로 어떤 사람들은 우전을 따 차를 만든 뒤 비싼 값에 팔기도 하지만 동섭 씨는 차마 우전을 꺾을 수 없습니다.

 

봄꽃-밑에-오동섭

오동섭 씨는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차를 만들어왔습니다. 명차를 만들어 이름도 날리고 돈도 벌려는 욕심도 있었고 자신만의 차 향기로 사람들을 감탄시켜보겠다는 의욕도 있었습니다. 그렇게 50이 넘고 나서는 차의 향기는 자신의 재주와 기술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연이 준 향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

 

■ 매월당

전북 남원시 금지면 매촌길 47-34

010-6490-1278

 

▲ 자연의 철학자들 청도 신숙희 정원 꽃이 아닌 홀씨라도 좋다 공예가 공방

 

자연의 철학자들 청도 신숙희 정원 꽃이 아닌 홀씨라도 좋다 공예가 공방

[자연의 철학자들 - 꽃이 아닌, 홀씨라도 좋다] 꽃이 아니어도 꽃을 품은 홀씨처럼 기다리고 받쳐주는 삶을 살아가는 신숙희 씨의 철학을 함께 만나 봅니다. 봄이 오면 복사꽃이 사람들의 발을

dodo1004love.tistory.com

▲ 자연의 철학자들 동백꽃 화가 강종열 돌산도 동백정원 동백꽃 당신을 보듯 나를 보듯

 

자연의 철학자들 동백꽃 화가 강종열 돌산도 동백정원 동백꽃 당신을 보듯 나를 보듯

[자연의 철학자들 동백꽃 화가 강종열] “자연의 철학자들” 50회에서는 동백정원을 가구며 절망을 딛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용기를 주고 있는 강종열 씨의 철학을 만나 봅니다.

dodo1004love.tistory.com

 

반응형
Posted by 영숙이네집 :